동물자유연대 : 2016-2020년 유실․유기 동물 분석 보고②_지역별 발생 현황

반려동물

2016-2020년 유실․유기 동물 분석 보고②_지역별 발생 현황

  • 동물자유연대
  • /
  • 2021.05.06 13:14
  • /
  • 4211
  • /
  • 3

2016-2020년 유실유기 동물 분석 보고_지역별 발생 현황

 

 

유실·유기동물 분석 두 번째 시간이 왔습니다.

지난 1장에서는 연령별 및 월별에 따른 발생현황을 살펴봤는데요.

2장에선 지역별로 발생 현황에 따른 특성을 쉽게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1. 지역별 발생 현황

 

A. 전축종

1)지역별 발생건수 및 비율

 

- 전국 시·도 중 서울은 유일하게 2016년 이후 매년 유실·유기동물 발생 건수 감소되었습니다.

- 2016년 대비 2020발생건 수가 감소한 지자체는 서울, 대전, 세종이며, 반대로 발생건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3.1), 경북(2.6), 전북(2.5), 제주(2.4) 순입니다.

- 2016년 대비 2020발생건 증가폭이 가장 큰 곳은 경남(7,100), 경북(5,945), 전남(5,231), 전북(5,231) 순이며, 도심보다는 농촌 또는 도농복합지역에서의 증가율 및 증가폭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B.

1) 지역별 발생건수 및 비율

 

- 개의 경우 시와 도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시 지역에서는 2016년 대비 2020년 발생건수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더라도 대부분 100건 미만이고, 가장 많이 늘어난 인천 역시 355건이며 증가율은 10.4%에 그칩니다.

- 반면 도 지역에서는 증가폭이 가장 작았던 강원도의 경우에도 1,151마리로 33.3% 증가 전남의 경우 203.8% 증가세를 보입니다.

 

 

C, 고양이

1) 지역별 발생건수 및 비율

 

- 고양이의 지역별 유실·유기 발생은 개와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전체 유실·유기동물 발생건수가 매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던 서울시도 2020년 발생건수가 2016년보다 50건 많았으며, 대구는 매년 47~543건이 증가되었습니다.

- 도 지역에서도 고양이의 유실·유기는 개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입니다. 개의 경우 2016년 대비 2020년 발생건수가 모든 도에서 최소 30%이상 증가한데 반해 충북의 경우 102(9.5%)가 감소했으며 경기(62마리, 1.0%), 충남(330마리, 23.6%), 제주(325마리, 25.5%)30%미만 증가되었습니다.

- 2016-2020 개의 유실·유기는 시 지역에서 108,545, 도 지역에서 313,065건 발생해 도단의 발생 건수가 3배에 달하는 반면에 고양이는 동기간 시 지역에서 75,644, 도 지역에서 66,518건이 발생해 오히려 시 지역에서의 발생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납니다.

- 이는 고양이를 돌보는 개인활동가들의 도시지역에 주로 분포한 것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됩니다.

 

 

D. 기타축종

1) 지역별 발생건수 및 비율

 

- 지역별 유실·유기에 있어 특징은 서울, 경기, 인천의 발생건수가 4,009건으로 전체 발생건수(6,552)2/3가량을 차지하며, 수도권의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 고양이와 마찬가지로 시 지역이 도 지역의 발생건수보다 크지만 증가율은 도 지역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 기타축종의 수도권 및 시 지역에서의 집중 발생은 개와 고양이를 제외한 축종의 반려인구의 분포와 연관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의 유실·유기 발생 건수가 많은 이유는 인구밀도와 반려인구의 분포에 따른 것으로 보닙니다. 그럼에도 증가폭이 크지 않은 것은 CCTV 설치지역이 늘며 유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감시가 어려운 외곽지역이나 농촌지역으로의 원정유기가능성도 있지만 반려동물 인프라와 같은 양육을 용이하게 하는 환경적 차이와 대도시의 경우 유실·유기 방지 캠페인 등 시민의식 제고 노력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도시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 등에서도 대책 마련과 인식개선이 시급하며, 특히 유실·유기 방지 캠페인 등 시민의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시민들이 반려동물을 책임지고 맞이해야만 지역과 상관없이 유실·유기 발생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는 인구대비별 발생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많은 동물들은 어디서 왔을까?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2016-2020 유실·유기동물 분석 보고서👇


[2016-2020 유실·유기동물 분석 보고 시리즈]
📂유실·유기동물보고 ① 연령 및 월별 발생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