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동물 발견 시
위기에 처한 동물을 발견했을 때
대처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먼저 읽어주세요!
긴급하게 치료 및 보호를 필요로 하는 동물을 발견했을 때엔 동물단체의 도움을 즉각적으로 받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동물 구조 및 보호조치는 119시스템처럼 바로 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간혹 긴급을 요하는 동물을 발견했을 때 전화 제보를 통해 ‘빨리 와서 데려가세요’ 라고 요청하는데,
단체 관계자가 그 현장 가까이에 있지 않는 한, 이는 어느 동물단체에서도 해결할 수 없습니다.
차량 사고 등으로 인해 긴급 치료를 요할 시

동물을 인근 동물병원으로 옮기셔야합니다.
가장 빠른 방법은 목격자만이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방법에 의해 대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때 주인이 없는 동물일 경우 다소 난감하게 대하는 동물의사도 있습니다. 치료비 때문이라기보다는 동물의 사후 처리에 대해 곤혹스러운 마음이 들어서일 것입니다.
먼저 동물을 병원에 버리고 가지 않는다는 신뢰를 줄 수 있도록 잘 설득하시고, 치료비 일부라도 지불해 응급처치를 받을 수 있게 해주십시오.

동물이송
대부분의 목격자들이 동물 이송을 난감해 하는데 이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마음을 진정시키고 다음과 같이 침착하게 대처해 주십시오.
작은 동물일 경우 그대로 품에 안아서 택시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며, 조금 큰 동물은 주변의 상가나 주변인에게 도움을 요청, 종이 박스 같은 것에 담아서 이송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때 동물이 구토, 설사, 출혈 등의 경우도 있으므로 반드시 타월이나 신문지, 비닐봉투 등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중대형의 개일 경우
통증 때문에 난폭한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119에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지역에 따라 119가 출동하기를 난감해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난폭한 개를 보통의 사람이 이송할 경우 인재로 이어지게 되면 어차피 119가 출동해야 한다는 것을 주지시키고, 사전 예방을 위한 조치라는 것을 잘 설득하셔서 도움을 받으십시오.
add_to_photos 긴급한 동물의 응급처치를 끝낸후의 조치

긴급한 동물은 가능한 구조자가 임시보호해 주시면서
동물단체를 통해 입양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동물 단체는 늘어만 가는 집 없는 동물로 인해 한계상황에 처해 있고, 누구에게나 임시보호는 힘에 겨운 일입니다.
가여운 생명을 외면하지 말고 조금만 더 적극적인 입장을 취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도저히 그럴 입장이 안 되시면 동물 구조 단체에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동물단체가 성의껏 도와줄 것입니다.

주인을 찾아보는 일은 꼭 해주셔야 합니다.
구조자는 구조 동물에 대해 주인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동물이 버려진 것이 아니라 집을 나왔다가 길을 잃은 것이라면 주인이 애타게 찾고 있을 겁니다.
동물 입장에서도 입양보다는 주인을 찾는 것이 우선이며 더 좋은 일입니다.
인근지역에 동물의 특성을 표기한 후 사진을 첨부해서 전단지를 붙이고, 후속조치는 구청 등 관할 지자체 담당부서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pan_tool 잠깐!! 이런 동물의 구조는 미뤄보세요.

어린 아기 고양이
엄마 고양이로부터 떨어진 아기 고양이를 섣불리 만지거나 데려오는 일은 매우 신중하셔야 합니다. 엄마 고양이와 함께 이동 중에 잠시 떨어져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시간을 두고 엄마 고양이가 아기 고양이를 찾으러 올 수 있도록 기다려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섣불리 데려오게 되면, 어디선가 엄마 고양이가 아기 고양이를 애타게 찾으며 울부짖게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아기 고양이가 이제 홀로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야 할 시기일 수도 있습니다. 동물은 각자의 생태 속에서 스스로 적응하며 살아가는 과정이 존중되어야 하며, 이는 인간의 무분별한 개입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다만, 가능하다면 성장한 고양이에 대해서는 중성화를 시행한 뒤 다시 방사하는 방식으로 사람과 고양이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건강한 도심 환경을 만드는 데 함께해 주시기를 권합니다.
info 긴급동물 보호조치 접수방법
security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 현황(2023년 2월 기준)
센터명 | 소재지 | 연락처 | 운영기관 | 비고 |
---|---|---|---|---|
서울 |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 02-880-8659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위탁 |
부산 | 부산시 사하구 낙동남로 1240-2 | 051-209-2091 | 낙동강 에코센터 | 직영 |
인천 |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13-20 (솔찬공원내) | 032-858-9702 |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 | 직영 |
대전 | 대전시 유성구 궁동 대학로 99 | 042-821-7930 |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위탁 |
광주 | 광주 서구 무진대로 576 (덕흥동 1195-28) | 062-613-6651 |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 직영 |
울산 | 울산시 남구 옥동 506-3 | 052-256-5322 | 울산대공원 | 직영 |
경기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동천길 132-93 | 031-8008-6212 | 경기도 동물보호과 | 직영 |
경기 북부 | 경기 연천군 전곡읍 양연로 1113번길 179-16 (양원리 525-2) | 031-8030-4451 | 경기도 동물보호과 | 직영 |
강원 |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 033-250-7504 |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 직영 |
충북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4길 45(주성리 311-4) | 043-249-1455 |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위탁 |
충남 | 충남 예산군 예산읍 대학로 54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내) | 041-334-1666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탁 |
전북 | 전북 익산시 고봉로 79번지 | 063-850-0983 |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위탁 |
전남 | 전남 순천시 순천만길 922-15 | 061-749-4800 | 순천시 환경보호과 | 직영 |
경북 | 경북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2150-44 | 054-840-8250 | 경상북도 산림자원개발원 | 직영 |
경남 | 경남 진주시 진주대로 501(가좌동 900) | 055-754-9575 |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 위탁 |
제주 | 제주도 제주시 산천단남길 42 | 064-752-9982 | 제주대학 수의학과대학 | 직영 |
야생동물의료센터 | 전남 구례군 마사면 화엄사로 402-31 (황전리 41) | 061-783-9585 |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 직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