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7.18
위기동물 구호/지원
학대, 유기, 재난 둥 위기에 처한
동물의 안전을 지키고 회복 지원
- 2025.07.30
지난 6월 29일, 경기도 광주 소재 한 영업장에서 돌봄을 받던 고양이 ‘까미’가 산책 중이던 한 반려견으로 인해 죽음을 맞이한 사건에 대해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당시 반려견의 보호자는 반려견이 까미를 쫓을 수 있도록 목줄을 풀어주었고 까미가 쫓기는 와중에도 그 어떤 제지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그 상황을 지켜만 보며 결국 까미를 죽음에 이르게 하였습니다.
동물자유연대는 보호자를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고, 부검을 위해 까미의 사체를 수습해 보관하고 있었습니다.
고발장에는 피해 동물의 사체 부검을 통해 사인을 명확히 해야할 필요성 또한 기재하였습니다. 하지만 담당 수사관은 부검을 필요성을 낮게 판단하며, 부검 진행 결정을 차일피일 미루었습니다. 뜨거운 날씨에 사체의 부패 진행 속도가 급속도로 빨라져, 결국 냉장 상태로의 보관은 포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매일 아침마다 지하 창고에 있는 아이스박스를 꺼내 얼음과 소금을 교체하며 냉동 상태로 사체를 보관하기 위해 애썼습니다.
사체 보관을 애쓰고 있는 와중에도 담당 수사관은 전혀 응답이 없었습니다. 결국 직접 연락을 시도하였고,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답변을 받게 되었습니다.아직 수사관 측으로 증거 영상을 제출하지 않아, 영상을 확인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기관에 사체 부검을 우선적으로 요청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한다며 “범죄 혐의점이 없다고 본다.”는 답을 전달받은 것입니다.
결국 활동가는 고발인 조사 과정에서 담당 수사관에게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에 동물 사체 부검 의뢰에 대한 절차만 밟아준다면 직접 해당 기관에 사체를 인계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고, 그제서야 수사관은 부검 의뢰를 진행하였습니다.
동물 학대로 인해 피해 동물이 사망한 경우, 사체가 부패하기 전 빠르게 부검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사건 수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하지만 수사 초반부터 범죄혐의점이 없다고 단정 지으며 사체 부검을 바로 요청하지 않은 담당 수사관의 안일한 태도에 동물자유연대는 깊은 유감을 표하는 바입니다.
동물 학대를 저지른 보호자와 그 반려견은 여전히 까미가 지내던 영업장 안을 들여다보며 서성이고 있다고 합니다.아직 그곳에서 밥을 먹는 고양이들이 있어 제보자는 극심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보호자가 까미의 죽음에 책임질 수 있도록, 더이상 까미와 같은 피해 동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더욱 철저한 수사가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동물자유연대는 해당 사건을 끝까지 모니터링하여 수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담당 수사관에게 강력히 요구할 예정입니다.
부디 까미의 죽음을 함께 애도하며 많은 관심으로 함께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 0
- |
- 21
- |
- 0
댓글
추천 콘텐츠
- 2025.07.04
- 2025.06.25
- 2025.06.12
- 2025.06.10
- 2025.06.10
- 2025.06.10
- 2025.05.30
- 2025.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