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보호소 실태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닌것 같습니다.
봉사자들이 옳은 말을 하면 출입조차 못하게 한다는 말들도 있고
봉사자 없으면 아예 변들도 치우지 않아 그 위에서 잠자게 하고 오히려 병이
보호소에서 더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녀석당 10만원가량이 책정되어있어서 그런지 10일되면 안락사 바로 시행하고
또 잡아들이고....적어도 보호소라면 그 책임자는 생명의 안타까움 만이라도 느껴
야 하는것 아닌지요. 아이들을 돈으로 보고있는게 분명합니다.
동물보호단체들과 봉사회원들의 힘을 모아 시보호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규정도
바꿔야 할거고 보호소 책임자를 차라리 봉사단체에서 뽑는걸 건의하면 안될런지요
불쌍한 생명들을 자신의 돈벌이에 이용하는거 더 이상은 못보겠습니다.
시보호소 역활을 다할수 있도록 감시하는 단체가 절실히 필요합니다
조희경 2012-06-17 17:12 | 삭제
네..시위탁보호소들을 다 싸잡아서 말할 수는 없고, 또 여러 유기적인 관계들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라 단편적인 이야기만 할 수 없는 부분이 많지만, 지역자치단체의 위탁보호소들과 민간 봉사자들 사이에 원만한 접촉점을 만드는 것은 분명 필요합니다. 부족한 지자체 재정을 자원활동과 지역후원으로 보충해야 하고 그럴려면 위탁보호소들이 보다 열린 자세가 되어야 하고, 또 위탁보호소들이 폐쇄적으로 운영하지 않게 하기 위해 봉사자들의 접근도 인내와 상대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해'가 단지 그들의 기준에 합류하기 위한 이해가 아닌 개선과 발전을 위한 대화의 수단 및 시간으로써 말이지요..
제도적인 문제점들로 인해 동물관리가 개선되지 않는 것도 있지만 각 지자체의 재정자립도에 따라 한계가 있는 곳도 많습니다.
우선은 지역주민 중심의 봉사대가 구성되면 시위탁보호소와 원만한 관계 구축에 서로 노력하며 개선해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런 일들에 단체가 하나하나 다 개입해서 현장을 함께 하기는 어렵지만 우선 지역주민들에 의해 봉사대 구성이 가능 한 곳이 있다면 그런 곳을 중심으로 저희가 함께 논의하며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혹시 이에 관하여 더 상의하고 싶거나 앞으로의 계획을 함께 하고 싶으시면 사무실로 전화주셔서 국장님과 상의하시면 최선의 방법을 강구하며 도와드릴 겁니다.
그리고..보호소 책임자를 봉사단체에서 뽑도록 건의하는 것이 많이 어려운 이유는, 지금 대부분의 시위탁보호소들은 개인 혹은 단체들이 시설을 갖추고 입찰에 응하는 방식이어서(다시 말해 이것도 자본잠식이 작용) 책임자 선정 선택에 대한 요구가 거의 불가능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각 지자체가 보호시설을 직접 만들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관리는 용역을 주더라도 시설이라도 자치단체에서 준비하면 동물복지가 훨씬 더 개선될 텐데요....
실제 농식품부에서 지원금 일부가 지원되어 몇몇 지자체는 직영보호소를 만들었거나 만들고 있습니다.그런 과정에서 저희의 노력도 있었고요. 지자체가 보호시설을 직접 만드는 것이 더 확대될 수 있도록 저희도 더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