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기사퍼옴)성남市 \"떠돌이 고양이 생포 1마리에 만원\"
- 김승우
- |
- 2003.10.17
성남市 \"떠돌이 고양이 생포 1마리에 만원\"
○…경기 성남시(시장 이대엽·李大燁)가 늘어나는 ‘떠돌이 집고양이’를 퇴치하기 위해 고양이 사냥꾼 공개모집에 나섰다.
![]() | |
▲ 이대엽 성남시 시장 | |
시는 17일 관내 주민을 대상으로 고양이 울음소리 민원이 일어나는 곳에서 고양이를 잡아 올 수 있는 포획인 모집공고를 냈다. 포획된 고양이들은 인근 동물병원에서 불임수술을 거친 뒤 다시 풀어주게 된다. 수술에 드는 비용은 5만~15만원. 시 관계자는 “주택가에서 떠돌아다니는 주인 없는 고양이는 모두 4100여마리로 파악하고 있다”며 “올해 들어 고양이 민원이 신흥·산성동에서 하루에 1~2건씩 접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과천 등 고양이 민원이 심한 자치단체들은 이미 고양이 포획 전문가를 동원해 고양이 불임수술을 해 고양이 민원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고 있다. 고양이 사냥꾼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고양이를 포획할 수 있는 포획틀과 운반용기, 차량 등을 갖춰야 한다. 포획인에게는 1마리당 1만원이 지급된다. ☎(031)729-3730
(성남=김정훈기자 hoon@chosun.com )
- 9
- |
- 118
- |
- 1
정현옥 2003.10.18
하!^^ 이 배우 아자씨, 아니, 이 배우 시장님,일 한번 멋지게 하시네요.!!! 우리 놀러갈까요?왕년에 팬 이었다구...ㅋㅋㅋ
관리자 2003.10.18
과천시에서는 중성화수술을 마친 고양이들은 귀에 표시를 달아준 후 풀어주고 있습니다.
조희경 2003.10.18
네,그것도 정말 중요한 문제네요.. 찍은 데 또 찍는다는 말이 있었죠? ^^ 그럼 안되는데..
양미화 2003.10.18
중성화수술하면 무슨 표시를 해주나요? 겉으로 봤을때 알아볼수 있으면 좋을 텐데요.
조희경 2003.10.18
네..그럴려구요.. 겉으로는 인도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실무에서는 전문가가 아닌 이상 마구잡이가 될 것 같습니다. 고양이를 다루는 과정을 중요시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려고 합니다. 점차 발전적으로 되야지 이 정도에서 안주할수는 없죠~ ^^
김승우 2003.10.18
성남시에도 동물단체에서 이번사업을 관심있게 보고있다는 정도의 표현은 해야되지 않을까요?
조희경 2003.10.17
예전 처럼 무조건 잡아죽이는 방법이 아니라서 다행이지만 (어차피 동물들은 생존 능력 조절력이 강해서 개체수를 일시적으로 줄인다고 해서 장기적인 효과를 보지는 못합니다) 이런 일들은 사실 동물단체가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어 있어야 동물들이 위험하게 다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야생고양이의 경우 상당히 예민하기 때문에 포획 등의 마취 과정에서도 쉽게 죽는다는군요. 암튼..동물문제중 특히 야생동물이 아닌 개, 고양이 문제는 사회적으로도 대우받지 못하는 현실로 볼때 아무나 손대면 안될 것이라 판단했습니다. 요즘. 이렇게 정의독점주의에 빠져... 나 만이 정의이고 남이 하면 동물사랑을 가장한 위선이라는.. 제가 가장 역겨워하는 오류에 빠져버린 것인지 모르겟지만.. ㅠ.ㅠ 요즘 이 고민하느라 몇날 며칠을 스스로 자해하다시피 고민하다가 몸이 탈진 비슷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ㅠ.ㅠ 암튼..장기적인 계획으로 볼때 시스템화시킬 수 있는 개, 고양이 구제의 문제를, 안락사때문에 회피하는 것은 매우 소극적인 방법의 구조활동이라 여겨지고, 말 그대로 안락사가 최대한 인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결국 동물단체들이 이젠 외면해서는 안된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그것이 개,고양이 문제의 가장 마지막 부분의 마무리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작업 착수했습니다. 잘될지 모르겠지만 이젠 지자체에 의존할 것이 아닌, 정부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을 위해 주무부처와 협의를 시작했습니다. 스타트가 좋긴한데.. 주무부처를 설득해도 막상 정책화되는 것은 오래걸릴 수도 있고 설사 작업이 성공한다 하더라도 예산을 확보케하는 과정에서 또 관련부처들을 찾아다니며 설득(로비)을 하는 과정이 구비구비 남아있겠지요.. ㅠ.ㅠ
이현숙 2003.10.17
그런데 몇가지의 준비물만 지참되면 고양이사냥꾼으로 등록이 된다면...그런 전문꾼들이 시의 마리당 만원보다 더 많이 준다면 다른 쪽으로 유통(?)시키지않을까하는 걱정도 드네요....
김효진 2003.10.17
가끔씩 좋은 소식이 들려 살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