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 조희경
- |
- 2003.09.17
이 사람 말에 동의합니다.
이 법안의 요지는 애견 등록(혈통관리)의 주체들이 누구가되냐는 것이지, 개가 가축이 되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은 아니라는 것이죠.
이 사람 주장이 맞습니다. 저도 이 부분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요..애견관리 주체가 어디서 굴러들어온 말뼉다귀같은 넘들이 차지하려는 것.. 이거는 나쁜다는 이야기 하는거에요.. 지금 마사회보다는 종축협회쪽이 문제일겁니다. 종축협회는 아까 애견협회와도 잠간 언급했습니다.
나보고 어찌 거기까지 아냐고 묻더군요. 우리도 다 정보통있다고 했죠.
이글을 암만 봐도 애견 등록에 관한 권리 시비이지 개가 가축이라는게 개정법에서 뭐가 그리 달라지는건지 여전히 모르겠습니다. 물런 좀 더 적극적인 표현은 되는거지만 현행법에도 개는 가축입니다. 근데 왜 새삼 개가 가축이냐고 따지는건지.. 이참에 빼자는 말이라면 이해가 가죠. 그래서 우리는 빼자는거고요.
합법적인 개도축은 축산물 가공처리법에 개가 올라갈때 가능합니다. 그래서 김홍신이 개고기 합법화 추진할때 아주~ 심플하게도, 그냥 가축의 정의에 \'개\' 요거 한자만 넣으면 되는 겁니다아..하고 말하고 다녔잖아요. 그냥 아주 별거 아닌 개만 들어가면 정리가 되는 것처럼.
이 등록안에 식견업자들이 합법적으로 등록가능한 부분이 어떤거죠? 오히려 애완견이라고 하지 않았나요? 물론 심인섭님이 음성적인 것을 지적했지만 당연히 음성적인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하지만 탈법을 통해 음성적인 행위를 하는것이 어디 이런 것뿐인가요? 그 자체는 당연히 비난해야 할 일이지만 그런 범법이 이 사회에 존재하는 현실을 부정한다는 것은 손바닥으로 해를 가리는 것과 같은 것 아닌가요? ( 제가 탈법을 인정하겠다는 뜻이 아닌거 아시죠? ^^;;)
저랑 생각이 다른 분들은 제 의견에 계속 이의 붙여주세요.
저도 정리하려고 하는거지 반박하려는게 아녜요. 이거 예민한 문제라서 그러는겁니다.
- 3
- |
- 126
- |
- 1
김진희 2003.09.18
무슨 의미인지 아직 일목요연하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저역시 언뜻 생각하기에 개를 가축에 넣는다는것에 먼저 저항감이 드네요. 대표님이 설명 잘해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시간이 없어서 농림부에 의견서도 못 올리고 했는데.. 저녁때쯤 다시 곰곰히 읽어봐야겠어요. 그땐 이미 늦을까요?
이옥경 2003.09.18
그러게요..이건 상당한 머리싸움입니다. 먹혀들어가지않게 풀어가려면.. 아고..
조희경 2003.09.17
애견협회를 비하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애견협회랑 우리같은 단체는 어차피 성격이 틀리는 한계는 인정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