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마포구 A아파트 게시판에는 ‘개 고양이 토끼 닭 쥐 등 애완동물의 사육을 원할 경우 입주자 과반수의 서면동의를 요한다’는 공고가 나붙었다. 여기에는 2차례 경고한 뒤 계속 이행하지 않으면 10만원 이하의과태료를 부과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었다.
공고가 나간 뒤 애완동물을 키우는 주민들은 “이웃에게 큰 피해를 주는것도 아닌데 죄인취급 받는 것은 억울하다”며 “공고를 따르지 못하겠다”고 반발했다. 반대로 일반 주민들은 “여러 가구가 같이 사는 아파트에서 협조해 잘 살자는 것이 뭐가 문제냐”며 상대편을 질책했다.
요즘 서울시내 아파트에서는 애완동물 전쟁이 한창이다. 서울시가 2월 ‘공동주택 표준관리규약’을 마련, 20가구 이상 아파트에서 애완동물로 인한 소음 등 피해가 있을 경우 사육자는 같은 통로 혹은 같은 층에 거주하는 입주자들 가운데 과반수의 서면동의를 얻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서울시는 각 아파트단지에 대해 이달 말까지 자체 규약을 개정해 제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어 시한을 앞두고 전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5년째 애완견을 기르고 있는 B아파트 주민 신모(55ㆍ여)씨는 관리사무소의개정안에 반발하며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을 모아 서울시에 대한 진정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지금까지 애완견을 길러오면서 사소한 문제 한번 일으킨 일이 없는데, 난데없이 일일이 아파트를 돌며 서명을 받으라는 게 말이 되냐”고 따졌다.
그러나 같은 아파트 주민 백모(34)씨는 “그 동안 개 짖는 소리 때문에밤잠을 설칠 때가 많았는데, 이번 기회에 애완동물을 아예 아파트에서 모두 추방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백씨는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에서 계속 반대하면 반상회에서 이사를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할 계획이다.
상황을 이렇게 악화한 것은 서울시 표준관리규약이 ‘공동주거생활에 피해를 미치는 경우’로 동의조건을 애매하게 규정한 것도 한몫을 하고있다.이 때문에 중구 C아파트는 애완동물을 기르는 것 자체에 대해 주민들의 동의를 구하도록 했지만 강남구 D아파트는 애완동물을 키울 수는 있으나 반드시 성대수술을 받도록 하고, 덩치가 큰 동물은 동의를 구하도록 하고있다.
이 때문에 조건이 까다로운 아파트단지의 애완동물 사육 주민들은 “옆아파트에 비해 지나치게 엄격하다”며 관리사무소와 일반 주민에게 불만을표시하고 있다.
더구나 서울시의 표준약관은 지난해 11월 건설교통부의 주택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것이어서 애완동물 전쟁은 조만간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될 전망이다.
홍석우 기자 , 신재연기자
한국일보
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양미화 2004.05.31
경화님 저희 아파트도 문제가 제기되는 집만으로 되었어요. 그나마 다행이긴 한데 그래도 별로 기분은 안좋은거 있죠.
조희경 2004.05.31
우와~~ 이경희이사님 가족 다 나와서 보기 좋았어요.더구나 손주랑 아가랑 같이 사는 모습이 방송된게 더 의미있어 보였고요. ^^ 방송 처음하신 분 같지않으신데요? 예쁘시고 말씀도 잘하시고. ^^ 앞으로 방송 전담맨하심이 어떠실런지요? ㅎㅎ
박경화 2004.05.31
우리 아파트는 새로 바뀐 내용이 관리사무소에 신고하기 민원이나 문제가 제기되는 집은 라인의 동의 얻기 이더군요. 뭐.. -_-;; 크게 따지고 들 건덕지는 없다고 보고... 냅두긴 했는데... ^^ 제가 신고할 맘도 없고.. 결국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 상관없다는 거 같아서요.
이경숙 2004.05.31
정말로 미치겄다 미치겄어........
양미화 2004.05.31
그런데 대표님 저런경우 꼭 성대수술 해야하나요? 안하면 무슨 법에 접촉되거나 그런건 아니겠죠? 성대수술이라는게 잔인한 거쟎아요. 그런데 관리규약에 성대수술 시키고 길러라. 이렇게 나오면 꼭 따라야 하는지 안따라도 괜찮은 건지 잘 모르겠네요.
양미화 2004.05.31
사실 아파트에서 개기를 려면 성대수술하고 길러야만 한다. 이거 좀 심한거 아닌가요? 동물학대같은데요. 저같으면 절대 성대수술 안시키고 버틸생각이지만, 그 아파트사는 개들 전부 성대수술할거 생각하니 너무 가엾네요.
조희경 2004.05.31
이 기사때문에 화제집중에서 방송한 것 같더군요.. 화제 집중이 많은 사람들이 시청한다니(특히 주부들이 집에서저녁 준비할 시간이죠) 많이 보고 참고햇으면 좋겠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