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 조희경
- |
- 2005.02.04
저는 농림부에서 동물보호법에 관해 이야기를하면서 오늘에서야 비로소 확실하게 깨달을 것이 있습니다.(물론 이것이 완벽한 깨달음(?)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만)
제가 생각하기엔 동물단체쪽이나 농림부쪽이나 서로 이해의 간극을 좁히는 노력을 못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니 저는 양쪽에 다 싫은 소리만 하는 잘난 척 하는 존재가 되었네요.
여하튼 난 이 법이 시간적인 소모전을 하는것은 원치 않습니다. 내용이 제일 중요하지만 시간을 소모적으로 소진하는 것은 배제해야 합니다.
정말 농림부나 동물단체나 양쪽 다 모여서 술이라도 퍼부으며 할말 다 해보자고, 그래서 정말 문제가 뭔지 풀어보자 하고 싶습니다.
오늘은 이판사판으로 가축방역과 사무실이 냉랭할 정도로 김규억계장과 언쟁을 했습니다. 결국 백현씨가 사주는 점심의 낮 술로 서로의 언짢음을 풀고 웃으며 악수하고 왔습니다만.
오늘 대화하며 느낀 것인데, 우리는 농림부에게 원망이 많지만 원인이 무엇인지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들이 동물보호법 개정 진행을 매끈하게 이끌고 갈 여력과 능력이 안되는 것이었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 ㅠ.ㅠ
목에 꽉차게 인절미를 쑤셔 넣고 왜 안삼키느냐는 항변을 계속 해온 것은 아닌가 하는 암담함이 엄습했습니다.
이건 농림부가 가지고 있는 현주소의 문제이고, 지금 상황에서 이 근본적인 것을 문제삼아서 또 논쟁거리로 만드는 것은 적절치않다고 생각합니다.
농림부이든 동물단체이든 다 지금 정비되지 않은 시스템에서 이렇게 저렇게 끌고 나가는 상황이라는 것을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니 농림부는 계속해서 동물단체 의견을 최대한 다 반영하는데 왜 자꾸 그런 말 하느냐, 또 의견서 같은 양식 말고 제대로 된 양식의 법안을 구체적으로 표기해서 제출해라 라는 것이었고,
동물단체는 우린 다 제출했는데 농림부가 들어주는게 없다고 하는 것이, 서로 엇비껴가는 상황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물론 정비된 시스템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닙니다만.
또 우리의 문제도 충분히 피드백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과연 농림부에 요구하는 만큼 그들에게 유효하게 자료를 제공하며 설득하였는가?
저도 못했습니다. 그럴 여력도 없었고요. 이건 우리를 정당화시킬 핑계가 아니지요.
농림부가 만나주지 않는다. 이것도 원망으로 성립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나와 상대방에 대한 진단없이 원망만 가득 쌓아서 무엇을 풀어나가겠습니까.
오늘 벌건 얼굴로 마지막에 한 말은, \"동물복지협회가 더욱 더 열심히 뛰어서 앞으로는 이런 문제에서 협력관계가 충실하게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러니 지금 상황에선 이 상황을 두고 최선을 찾아봅시다\" 이 말 밖에 안나오더군요.
그리고 처음부터 다시 접근해야 하는데, 나도 모자르는 사람이니 이를 어쩐다....였습니다.
- 1
- |
- 65
- |
- 2
이경숙 2005.02.06
대포님........고생..............바가지로 하시네.......엉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