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 김현경
- |
- 2005.06.02
[펌] 건사료의 위기(felinefuture.com)
>진실을 말하자면, 상업 건사료는 고양이의 건강에 아무런 도움이 안된다는 것이다. >
무엇보다도 상업 건사료의 영양 배합은 완전하고 전형적인 육식동물로 진화해온 고양이가 먹어야 하는 자연식과 비교가 안될뿐만 아니라 전혀 반영하고 있지도 않다. >
>
>
자연에서 먹게되는 먹이는 65%~75%가 수분으로 되어 있다. 아프리카 평야에서 진화한 고양이는 전적으로 먹이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섭취함으로써 갈증을 해소하도록 되어 있다. >
>
하지만 상업 건사료는 10%도 안되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
>
상업 건사료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는 곡물로, 사료 무게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옥수수, 쌀, 밀 같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곡물은 값싼 칼로리원이다. 곡물은 우선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고, 고양이가 필요로 하는 영양분이 거의 없다. 간과 그외 다른 기관에 소량의 탄수화물을 저장되어 있고, 고양이는 먹이의 위와 내장으로부터 소량의 탄수화물을 얻게 된다 ; 그러나 이것은 먹이 무게의 1~2%도 안되는 소량이다. 그러나 상업 건사료에는 무려 45% 이상의 탄수화물이 들어있다. 탄수화물이 높은 음식은 비만의 원인이 된다. 과도한 탄수화물은 간에 의해서 체내에 지방으로 축적이 되기 때문이다. 고양이는 우선 단백질과 지방을 신진대사를 통해 에너지로 전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탄수화물은 그대로 체내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
>
>
앞에서도 고양이가 어떻게 아프리카 평원과 사막의 거주자로 진화했는지, 그리고 먹이(사냥감)를 통해서 수분을 섭취하도록 적응하게 됐다고 언급했다. 과거 40만년 동안 고양이는 따로 물을 섭취하면서 살지 않았다. 물을 먹어야 할 경우가 생겼다고 해도 서슴없이 먹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
>
>
1 cup (85 gm) of dry commercial cat food rehydrated with 225 ml water to contain a 75% moisture yields over 2 cups of food. >
|
>
>
>
>
평균적으로 자연식에는 70%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업 건사료를 먹는 고양이는 대략 매일 한 컵(***계량컵 한컵, 250ml, 8oz)의 사료를 소비한다. 충분한 수분 섭취를 위해 고양이는 매일 225ml의 물을 따로 먹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고양이에게는 탈수증이 나타날 것이다. >
>
>
일단 상업 건사료를 섭취하게 되면 건사료는 스폰지처럼 고양이의 위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내부에서 탈수증을 일으킨다. 건사료는 칼로리를 응집시켜놓았기 때문에 건사료 한 컵은, 일단 섭취하게 되면, 실제로 신선한 음식 두 컵과 맞먹는 것이 된다. 그래서 상업 건사료를 먹는 고양이들은 항상 과식을 하게 된다. 왜냐하면 반려인이 칼로리는 생각하지 못하고 단지 부피만 생각하고 급여를 하기 때문이다. 건사료에 들어있는 높은 탄수화물은 고양이를 아주 빨리 살찌게 한다. >
>
자연식에 담긴 수분과 같은 양으로 수분의 수준을 만들기 위해서 건사료를 먹이기 전에 물에 불리게 되면 단백질과 지방의 농도는 묽어지고, 영양면에서 볼 때 아주 부족한 수준이 된다. 단백질과 지방을 더 섭취시키기 위해서 물에 불린 사료를 더 먹이게 되면, 결국 탄수화물과 칼로리를 과잉 섭취하게 된다.
>>
Commercial dry cat food diet and FLUTD (Feline Lower Urinary Tract Disease):
하부비뇨기관의 문제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과거 1925년에도 목격되었다. 그리고 점차 늘어나서 지금은 고양이에게 일반적인 질병이 되었다. 방광에 장애를 주게 되는 struvite crystals의 생성은 음식과 직결되어 있다. 하부비뇨기관의 질병과 음식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미네랄 성분과 최근에는 소변의 ph에 대한 영향에도 촛점을 맞추고 있다; 음식이 소변의 양이나 비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있다.
이론적으로, 요도를 지나는 소변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식이요법을 통해서 소변의 마그네슘 농도를 줄이는 것보다 struvite crystal의 생성 가능성과 관련해서 더 큰 영향을 준다.
>소변의 양이 증가하면 그만큼 배뇨를 자주 하게 되고, 그것은 결석이 요도를 따라서 밖으로 나가는 것을 재촉할 것이다. 따라서 결석이 커질 가능성을 줄여준다. 이것은 FLUTD의 유형 중 하나인 haematuria (마그네슘을 많이 섭취하고, 수분이 적은 음식을 먹을 때 야기된다)가 똑같은 사료에 물을 첨가시켜서 수분을 80%로 만들어서 먹이면 없어지는 경우를 통해서 증명되었다. 건사료만 먹인 고양이와 비교했을 때 캔사료를 먹인 고양이는 하부비뇨기 질병이 재발되는 경우가 월등하게 감소한 것도 똑같이 관찰되었다. 건사료를 먹는 것은 하부비뇨기관의 병을 만드는 일이다.
>결석을 예방하고 치료해주는 새로운 건사료들은 마그네슘 수치가 낮고, 소변 PH를 낮추도록 고안되었다.
>>
struvite crystals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진 새로운 건사료들은 마그네슘 수준이 낮고, 소변의 pH를 줄이기 위해 산성화되었다.
>그러나 아스크로브산과 같은 산성화시키는 것을 섭취하고 게다가 마그네슘이 적은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체내에 칼슘의 흐름을 방해한다. 그 결과, 결석을 포함한 calcium oxalate 형태의 칼슘 침전물이 조직 속에 생긴다. 이러한 결석은 신장을 포함한 상부비뇨기관과 심장에 축적되는데, 외과수술을 통해서 제거하지 않으면 죽음을 유발하게 된다. 결정(crystals)을 포함한 수산염(oxalate)의 생성은 이제 struvite crystals의 생성과 같은 의미이다.
>
체내에 산의 생성에 있어서 단백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종종 간과한다. 고단백 식품은 체내에서 소변의 PH를 낮추고 자연스러운 산도를 유지한다. 고단백 식품은 방광이나 신장의 병을 유발하지 않는다. 하지만 탈수는 방광에 해를 준다. 건사료를 먹이게 되면, 오랫동안 탈수가 계속되고, 그것은 만성신장질환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 2
- |
- 59
- |
- 1
이경미 2005.06.02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프리챌의 커뮤니티 \"살찐네\"에 가보시면 됩니다.
이현숙 2005.06.02
출처는 저두 모르겠네요, 블로그 통해 펌글로 제가 또 푼 내용이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