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글쓰기
공부합시다-포도중독

서울대 수의대 나온 수의사분의 블로그글입니다.
포도도 마늘처럼 말이 많지만...논란이 되는만큼 굳이 먹이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을 듯 해요.

 

-개의 포도 중독증으로 인한 사망 급증

 

  건포도나 포도는 그 과즙이 새콤달콤하고, 몸에 좋은 건강식품으로 인식되어 오래전부터

사람은 물론 개들에게도 간식으로 사랑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미국수의사협회저널

및 동물중독관리센터(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Association, ASPCA-animal

poison control center)에 포도/건포도와 관련된 다양한 중독 증상들이 보고되었으며, 연

구를 통하여 \"다량의 건포도 및 포도섭취는 개에게서 심각한 신장 손상을 일으켜 사망에 이

를 수 있다.\"는 사실이 발표되었다. 국내에서도 포도중독과 관련해 치명적인 중독사례들이

연이어 보고되고 있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한국동물병원협의회(KAHA)에서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에게 포도 중독증의 위험성을 알리고, 포도가 위험식품으로서 소량 급여

만으로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교육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개체에 따라 적은 양 또는 일반포도 1송이 양의 섭취만으로도 개는

포도 중독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건포도의 경우에는 포도 1송이의 1/4양 만으로도 더욱 심

각한 독성작용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사례에서는, 보호자가 포도 중독증에 대한 상식부족으

로 개에게 포도를 급여하는 경우, 또는 식탁 위에 놓여 있는 포도를 개가 보호자 몰래 섭취

했다가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경우 등이며, 배설물이나 구토물을 통해 포도씨 등이 발견되

어 뒤늦게 중독 증상의 원인을 찾아내는 경우도 많다.


  개가 다량의 포도나 건포도 등을 섭취한 경우, 즉시 또는 수 시간 후 계속적인 구토, 식욕

저하, 설사를 보이기도 하고, 극도로 흥분된 상태를 나타내며, 24시간이 경과되면 개는 무

기력, 침울한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또한 극심한 복통, 핍뇨, 무뇨증, 불규칙한 호흡상태를

보이기도 하며, 이러한 증상들이 수일에서 수 주간 지속되기도 한다. 혈액검사상 신장손상

에 의해 BUN(Blood urea nitrogen), 크레아틴(creatinine), 칼륨(phosphorus)의 수치가

증가하며, 고칼륨혈증(hypercalcemia)를 나타낸다.

 

  포도 섭취 후 48시간이내 긴급히 치료에 임하지 않을 경우, 환견은 심각한 신장손상을 입게

되며, 이로 인해 갑작스럽게 사망할 수도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포도 중독증에 걸린 10마리

의 증례 중, 중독초기 집중적인 수액요법 등의 치료를 한 경우에도 5마리 정도만이 생존할

확률이 있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이 미약한 경우 안락사 대상이 된다.

 

  포도 중독증의 치료는 집중적인 수액요법과 이뇨제를 투여, 24시간 간격의 혈액검사를 통한

환견 모니터링, 구토가 계속 될 경우 항구토제 투여 등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위세척이나 흡

착제 투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보통 이러한 치료를 회복 시까지 수일간 실시한다.


  개의 포도 중독증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최근의 일로써, 현재까지 포도의 어

떤 성분이 독성으로 작용하고, 어떤 기전을 통하여 신장 손상을 야기하는지는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추측 가능한 원인으로 1)포도/건포도 성분자체의 독성  2)항진균제, 제초제,

살충제 등에 의한 오염  3)중금속(아연, 납 등)  4)과량의 Vitamin D  5)포도에 붙은 곰팡이에

의한 독성 (mycotoxin) 등을 추정되고 있다.

 

  동물들의 건강한 생활은 물론, 포도중독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반려

동물 보호자들의.세심한 관심과 식생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댓글

신순영 2005.10.18

^^ 정보 감사합니당. 저도 포도는 아무리 달라고 해도 주지 않고 있습니당,,,


서해숙 2005.10.17

이런 내용.. 전혀 몰랐네요. 올해 포도 무지 많이 먹였는데.. ㅜ.ㅜ


최현미 2005.10.16

현숙님..좋은 정보네요..옆에 봉사게시판이나 자유게시판에 옮겨서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음 더 좋을 것 같은데요...


후원 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