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안성보호서 정화조시설 후원 의견 수렴

안성보호소 아이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참 짠합니다. 오산의 양선생님이 돌보시던 아이들 거의가 다 거기로 갔지요.

생전에 우리 아이들을 돌봐주시던 양선생님을 생각하면 우리가 그 아이들을 팔짱끼고 나 몰라라 할 수는 없을 것 같은데, 하지만 동물단체가 특정 보호소를 마냥 지원하는 것은 저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만약에 그럴려면 해당 보호소와 합의되는 기준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봅니다.  물론 이것도 우리가 재정 안정이 된 후 다른 곳에 자선할 수 있는 역량이 될때 이야기이고요. (언젠가 양선생님이 돌아가시면 그 곳 아이들을 나몰라라 할 수는 없을 것이라 말한 적 있었는데, 그 시점이 우리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너무 빨리 앞당겨졌어요)

혹자들은 작년 결산을 보며 돈 남기는 단체라서, 우리 단체가 부~자단체라고 말하는데, 우리 부자 아녜요. ㅠ.ㅠ

제정자립도는 약 40%밖에 안되고 나머지 60%는 늘 불안한 가운데에 언제든지 졸지에 쪽박찰 수 있는, 그래서 늘 긴장하며 외부로부터 60%를 끌어들이기 위해(자존심은  유지해가며) 상근자들이 달달 볶이는 선이지요. 거기에 자원활동가들의 참여가 일부의 재정 손실을 막아주고 있는 것입니다. 돈 많이 있으니 자원봉사로 떼우지 말고 다 용역으로 해라..그러시면... 큰일납니다!!!!

올해의 재정은 벌어들이기 보다 쓰는 구조였구요, 그런 이유는 우리 단체가 보기보다 역할이 커지다보니 작년부터 슬슬 정신없이 지나가더니 올해에 벌어들이는게 취약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결론, 올해는 외부로부터 돈 많이 못 벌여들였다.

어,,얘기가 하소연으로 흘렀네요... --;  돈 좀 남는게 있어도 보호소에 펑펑 나누어주면 어느 순간 재정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변명.

그래도....우리가 예산 세웠던 비용중 유기동물복지 항목에서 올해 예산이 남는게 있으면 그것을 다른데에 도움을 줄 수 는 있지 않을까 하여 서론이 길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대략 결산을 해보니 올해 책정된 유기동물복지비가 여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 안성보호소가 겨울채비 견사 개보수공사와 정화조 시설구비 모금과  사료 모금(이건 늘상적인 지출로 봐야겟죠)이 진행되고 있는데, 사료모금은 아이들 먹거리이니 어떻게 해서든 유지될 수 있는 항목이라고봐요.  외상이든 뭣이되었든 간에 그런 유지 능력을 가져야 보호소를 운영하고자 하는 목적에 달성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견사보수와 정화조는 사료모금처럼 절박한 부분은 아니어서 모금이 목표도달에 장애를 겪을 수 있는 항목입니다. 그래서 이 중에서 정화조시설을 우리가 지원하고자 합니다. 카페에 가보니 150만원 든다네요. 공사라는 것은 항상 예상보다 초과지출이 발생하니 그것까지 감안해서 200만원을 책정하여 우리가 안성보호소 정화조시설을 후원하는 것으로 하려고 합니다. (우리 *간사 눈 크게 돌아가겠당... 우리 사무실에 고장난 온수기,, 이삼십만원짜리도 안사주면서 이뱅만원 쓴다고..)

보호소 지원 방식이나 이 지원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으시거나 보완 또는 추가적인 의견이 있으신 분들은 의견 올려주세요. 별다른 여론 조성이 안될때는 이대로 시행하겠습니다.

* 정화조는 가축 분뇨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지자체 조례가 제정되면 개사육시설에도 분뇨처리시설을 해야 합니다. 위반시 과태료(? 벌금형)이 부과됩니다. 안성보호소에도 시로부터 시설 명령이 전달되었나 봅니다. 우리도 해당될 수 있는데 서울시가 아직 이 조례 재정을 안했고 우린 닥치게 되면 그때 돈 많이 들어갈 것 같으면 모금하죠? ^^;; 우린 잠재력이 좀 더 강하잖아요?




댓글

박경화 2008.10.27

음... 후원에는 찬성... 금액은 ^^;; 잘 모르겠네요. 정확한 재정상태를 모르니깐요. 너무 부담스럽지않게 참여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요? 게다가... 이옥경님 말처럼... 그 보호소에 문제 생기면 또 우리까지 발목 터억하니 잡으려 들테니.. 것두 걸리고... 양선생님 생전 일도 걸리고... 뭐... 그렇군요.


이옥경 2008.10.27

보호소에 말썽생기면 그것도 우리의 부담으로 남을듯하잖아요. 쉽지않은결정이지만..이것도 큰형님다운 동자련의 모습을 보여주는것 같습니다.


후원 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