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 조희경
- |
- 2010.03.17
총 비용을 8억 5천만원 을 예상하고 계획하여 보았습니다. 이것은 미니멈입니다.
우리가 지금 꿈을 꾸고 있나 싶을 만큼의 금액입니다. 또한 모금이 몇년 동안 진행될 경우 물가 상승으로 공사비는 더 추가될 수 있습니다.
우선은 아래 계획에 따라 부지 매입비를 목적으로 먼저 모금하고 부지 매입 모금이 달성시 건축 모금을 다시 합니다. 모금 중 독지가가 나타나 땅을 기부받을 수 있으면 부지 매입비는 건축비용으로 자동 전환됩니다.
큰 돈입니다. 그냥 뚝딱 만들면 남들은 몇천만원으로도 한다든데...하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그 몇천만원이면 우리가 지금이라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전 사설보호소들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듯, 동물단체들이 보호소의 기준을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우리는 100년 향해 가는 단체입니다. 100년이 지난 후엔 우리의 후세가 더 많은 상상과 더 많은 일들을 할겁니다.
아니 그때 쯤이면 동물단체는 필요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1970년대에 활동하던 산아제한 단체들이 지금은 망해서 없어졌듯 말이지요.
목표 금액이 무리가 되는 것 잘 알고 있지만, 그러나 우리가 목표를 가지고 노력을 하면 반드시 이루어지리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목표를 포스팅해놓으면 우리가 예상치 못했던 거액 기부자들의 참여도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거액 기부자가 이 시설을 한번에 달성해주는 것이 아니라 그런 기부자들이 몇명 참여하여 더욱 탄력을 높여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동물보호협회가 보은에 교육시설 건립 모금을 할때에 당시 재미 한인동포 환경운동가 대니서가 한국에서 광고 촬영을 하고 당시 받은 돈을 동물보호협회에 기부한 사례가 있습니다.
좋은 뜻을 가지고 기부할 일이 있을 때 마침 자신의 뜻과 맞는 기부의 타겟이 명확한 곳이 있다면 인연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지요. 물론 이런 막연한 사례에 의지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모금이란 여러 관계사 얽히고 설키어 이루어지는 것이니 우리가 시작하고자 하는 의지를 다지면 일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시작하려는 것입니다.
모금이 시작되면 많은 분들이 부담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이 점이 참 고민스러운 부분입니다. 하지만 이 시대에 이 시간에 사는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가졌던 생각보다 보다 더 적극적인 생각으로 참여할 의지가 있어야 이 계획이 가능합니다.
그동안 이런 시설을 할때마다 회원님들과 뜻 있는 분들의 참여로 이루어지지만 정작 시설을 이용하게 되는 사람들은 이런 문제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들의 요구가 대부분이라는 점은 참 안타까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이 시설은 후원자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후원자 중심으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혜택도 고려해보았습니다.
또한 앉아서 후원을 기다려서는 달성할 수 없습니다.
다양한 모금 방식을 개발하여야 하는데 우선적으로는 한분 한분께서 주변 지인들과의 작은 바자회 또는 자선 모임을 통해 기부금을 만드는 방법도 제안해드릴 겁니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비회원인 정순희 이미디어트랙 대표님은 연말에 직원들과의 모임에서 150만원을 모금해서 기부해주신 바가 있습니다. 개별적인 후원외에 지인들과 작은 모임 모금회를 만들어 참여하는 것이 활성화되면 좋은 결과에 참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방법은 저희가 기본 계획안과 팩케이지를 만들어 제공하고 회원님들이 자발적으로 지인들과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그외 또 다른 모금계획안은 개발하면서 모금을 축적해나갈 계획입니다. 보다 상세한 것은 모금 계획이 확정되면 더 만들어가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회원님들께서 적극적인 의사 표시가 있어야 시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로또 당첨'은 금기 언어로 합시다. 본격적으로 진행하려 하니..아... 들으면 가슴 시려질 것 같습니다..^^;;)
- 3
- |
- 196
- |
- 16
이경숙 2010.03.20
부지런히...벌어야겠어요...ㅎ~
정재경 2010.03.20
꿈이 있다면 달성될 수 있습니다...어떤 방법들이 좋은 것들일까요? 외국 자금 유치도 가능한건지..기업들이 참여하라 수 있는 프로젝트가 있으면 자금 달성에 더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아..정말 벅찬 계획입니다! 동조 한표!!
조희경 2010.03.17
전에 폐교를 거론했었지만, 그리고 사람들이 폐교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겠지만, 폐교는 보호시설로 사용하지 못할겁니다. 토지와 시설 이용에서 제한을 두기 때문에 사실 폐교를 이용하는 것은 가능성이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