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목마(木馬)와 숙녀(淑女)...

학창시절에 항상 읊조리던 박인환님의 시를 박인희씨의 낭송시로 들어봅니다.
갑자기 오늘 하루종일 이 시가 머리에서 떠나지를 않네요..



목마(木馬)와 숙녀(淑女)
                                            - 박인환 님


한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와
목마(木馬)를 타고 떠난 숙녀(淑女)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목마(木馬)는 주인을 버리고 그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傷心)한 별은 내 가슴에 가벼웁게 부숴진다

그러한 잠시 내가 알던 소녀(少女)는

정원의 초목 옆에서 자라고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愛憎)의 그림자를 버릴 때

목마(木馬)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때는 고립을 피하여 시들어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늙은 여류작가(女流作家)의 눈을 바라다보아야 한다

……등대(燈臺)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그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木馬) 소리를 기억하여야 한다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그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 개의 바위 틈을 지나 청춘(靑春)을 찾은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人生)은 외롭지도 않고

그저 잡지(雜誌)의 표지처럼 통속(通俗)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

목마(木馬)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박인환 시선집, 산호장, 1955>


=======================================

요점정리

성격 : 주지적, 애상적, 허무적, 감각적, 상징적, 체념적, 감상적

특징 : 산문체이면서도 리듬감이 느껴짐.
도시적 서정과 보헤미안적 기질이 짙음.
전후의 허무주의적 색채가 짙음
의미보다는 분위기 중심의 작품

제재 : 목마(木馬) . 전후의 불안, 절망, 애상의 상징

주제 : 모든 떠나가는 것들에 대한 애상과 허무

구성 : ① 떠나가는 것들에 대한 화자의 슬픔(1∼11행)
         ② 절망적 현실의 체념적 수용(12∼25행)
         ③ 인생에 대한 감상적 통찰(26∼32행)


어휘와 구절


목마 : 떠나가는 모든 것을 대표하는 상징물로서, 이 시 전체의 분위기를 이끌어 가는 매개체이다. 또한 가벼운 애수와 상실감을 상징하며 버지니아 울프의 비극적 생애와 전후의 허무 의식을 연결시키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별 : 삶의 행로를 밝히는 시대의 좌표와 희망의 상징

가벼웁게 부서진다 : 상실의 이미지, 부정의 현실과 연결되는 표현.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 /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愛憎)의 그림자를 버릴 때 : 모든 가치있는 것이 소멸된 전후의 절망적 상황에 대한 표현

늙은 여류작가의 눈 : 삶의 열정을 잃어 버린 작가의 눈. 절망과 비애와 허무의 표출

등대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 길잡이가 없는, 즉 삶의 지향성을 상실한 허무와 불안의 시대

페시미즘 : 비관주의, 염세주의 (목마의 직접적 의미)
작별하여야 한다, 바라다 보아야 한다. 기억하여야 한다. 들어야 한다. 마셔야 한다 : 절망적 현실에서 체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스스로에게 당위성을 부여하는 표현을 통해 위장하고 있음.

뱀 : 통속적인 욕정

가을 바람 소리는 /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 삶에 대한 시인의 태도(애상적)가 집약적으로 표현된 부분.



이해와 감상

6·25 직후의 상실감(喪失感)과 허무주의를 짙게 띤 작품. 모든 것이 부서지고 퇴색하며 떠나가는 데 대한 절망감과 애상(哀傷)이 작품의 기조를 이루고 있다.
박인환은 김수영, 김경린, 조향 등과 더불어 1950년대 모더니즘 시의 대표적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도시적 감수성과 현대 의식을 중시하고 전위적 기법을 실험하며 문명 비판적인 주제를 주로 다루었다. 따라서 그들의 시는 지적(知的)인 요소와 서구적 기풍이 많다. 그런 가운데서 박인환은 가장 주정적(主情的)인 기질을 가진 인물로서 비애, 절망의 감정을 노래하는 데 치중했고, 흔히 감상주의에 빠져드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이 작품에서도 그러한 기질과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lf, 1882∼1914)는 영국의 여류 소설가로서 의식의 흐름에 중점을 둔 내면 묘사의 소설을 주로 썼는데 세계 제2차 대전기의 허무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과 강박 관념에 시달리다 결국 자살한 인물이다. 이러한 비극적 생애의 인물을 비롯하여 목마, 보이지 않는 별, 늙어 버리는 소녀, 불빛이 보이지 않는 등대, 술병, 상심, 작별 등이 연이어 등장하면서 작품 전체는 `퇴색하고 부서지며 떠나가는 것들에 대한 비탄(悲嘆)의 노래\'가 된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 / 그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通俗)\'하다는 구절은 이러한 절망감 속에서 나오는 쓰라린 독백이다. 그가 이렇게 말하는 것은 인생이 실제로 외롭지 않아서가 아니라 모든 아름답고 소중한 가치들이 허망하게 무너지는 황량한 세계에서 외로움을 느끼고 어딘가에 호소한다는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역설이다. 이러한 흐름을 거쳐 마침내 작품은 `내 쓰러진 술병\'으로 끝을 맺는데, 이 마지막 행은 삶의 의미에 대한 그의 비관적 태도가 집약된 귀착점이라 하겠다. 해설: 김흥규

김수영, 김경린 등과 함께 5인 공동 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간행한 박인환은 30년대의 김기림, 김광균을 중심으로 한 모더니즘을 계승한 50년대 후기 모더니즘의 대표적 시인이다. 후기 모더니즘은 김수영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이념적 중심이나 이론 체계가 없어 30년대 모더니즘의 발전적 계승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나, 50년대라는 전후(戰後)의 황폐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청록파적 경향에 반발하여 전통적 서정 세계를 부정하고 새로운 모색을 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시는 시어나 시구가 지니는 각각의 의미를 분석하거나 그것들의 의미 상황을 추적하면 무엇을 뜻하는지 선뜻 이해되지 않는데, 그것은 초현실주의적 방법인 우연성에 의한 시어의 자유 분방한 표현에 의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인환의 이러한 언어 감각이 이 작품을 \'분위기\'로 느끼게 하는 주된 요인이며, 허무적이고 감상적인 정조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전후문학은 6·25의 비극적 체험과 삶의 의미에 대한 회의, 가치의 전도(顚倒)와 혼란, 문명화, 도시화에 따른 비인간화 현상의 심화 등으로 인해 개인주의적, 감상적, 허무적 경향을 띠게 되는데, 이 작품에서 나타난 허무 의식과 센티멘탈리즘 역시 전후의 정신적 황폐함과 불안 의식에서 연유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작품은 모든 떠나가는 것들에 대한 애상(哀想)을 노래하고 있다. 1행에서 11행까지 계속 \'떠났다\'·\'떨어진다\'·\'부서진다\'·\'죽고\'·\'버릴 때\'·\'보이지 않는다\'가 연속되는 것에서 시적 자아가 마주 선 허무와 절망을 읽을 수 있다. \'목마\'는 내면 세계를 의식의 흐름이라는 수법으로 철저히 추구한 영국 여류 소설가인 \'버지니아 울프\'의 비극적 생애와 불안과 절망의 시대적 슬픔을 표상하는 것이며, \'숙녀\'는 바로 \'버지니아 울프\'를 가리킨다.
12행부터 25행까지 서정적 자아는 작별해야 한다는 등 무엇을 \'해야 한다\'고 반복하고 있지만, 그것은 결단의 모습이라기보다는 절망적 현실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체념에 가깝다.
26행에서 끝 행까지는 인생에 대한 통찰을 보임으로써 체념적 상황에 대해 반성하기도 하지만, 그가 삶에 대해 갖고 있는 애상적 태도를 극복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은 아니다. 도리어 절망적 현실을 인정하고, 그 속에 안주함으로써 삶의 구원을 얻으려고 하는 허무주의자의 나약한 모습일 뿐이다.
\'정원 옆에서 자라던 소녀\'에서 \'목마를 탄 숙녀\'로, 다시 \'늙은 여류 작가\'로 변모하면서 허무와 불안 의식을 견디지 못하고 \'템즈강\'에 투신 자살한 \'버지니아 울프\'의 비극적 생애처럼 인생 항로의 좌표를 잃고 살아가던 박인환은 \'상심(傷心)한 별\'과 \'불이 보이지 않는 등대\'와 같은 절망과 비애 속에서 \'한 잔의 술을 마시며\' 고통을 극복하려 했지만, 결국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비극적 정황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31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짧은 생애를 통해 문학과 술을 벗하며 끈기있게 현대 문명의 위기와 불안 의식을 세련된 감각과 높은 지성으로 노래한 그는 \'우수(憂愁)의 시인\'으로 불리우며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댓글

김효정 2004.05.23

우리들은 인생 시작하려면 아직도... 오우~ 몇년이야 60되려면...


조희경 2004.05.22

마쟈 마쟈~~ 역쉬 역쉬이... 간사님 짱!


관리자 2004.05.22

다 가다니요...? 이제 시작도 안하신거 아닌가? 켁~


조희경 2004.05.22

아..한때 목마와 숙녀, 그리운 바다 성산포 등에 빠져서 허부적 거리던 시절이 그립군요.. 아..옛날이여~ 청춘도 다 갔구나...


박성미 2004.05.22

이건 낭송시가 촛점인데... 이 회장님 사운드카드가 없어서 들을수 있으려나~~~^^


후원 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