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댕견 “꼬리없어 재수없다”… 보신문화 희생양
- 이경미
- |
- 2005.11.19
-. 역시 서울신문 주말탐방 기사입니다. 사진이 안들어가지네요..
직접 원문기사 보심 개들의 사진이 있습니다. 사진보니 왜 이리 마음이 아픈지..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51119005012
[주말탐방-버려진개] 댕견 “꼬리없어 재수없다”… 보신문화 희생양
토종견은 얼마나 될까. 전문가들이 말하는 7~8종의 토종견 가운데 대표적인 견공을 알아본다.
▲ 댕견
●댕견 꼬리 없는 개인 댕견은 진돗개·풍산개·삽살개 등과 더불어 우리의 토종견으로 알려져 있다.‘꼬리가 없어 재수 없다.’는 이유로 보신문화의 대표적인 희생양이 되기도 한다. 댕견은 지역 사투리에 따라 그 이름도 다르다. 경상도에서는 ‘댕갱이’, 전라도에서는 ‘동개’, 강원도와 경기도에서는 ‘동동개’라고 불린다.
●제주견 제주 지역에만 살고 있다. 중국에서 건너와 3000년 전부터 제주에 정착해 특유의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축산진흥원에 따르면 제주견은 현재 78마리밖에 남지 않아 멸종위기에 놓였다. 천연기념물 지정을 추진중이다.
●불개 소백산에 서식하던 늑대가 길들여졌거나 집개와의 교배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어혈을 풀어주고 환자의 회복에 특히 좋다는 소문이 퍼져 약용으로 쓰이기 시작하면서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 지금은 거의 멸종 단계에 이르렀다.
●진돗개 국내외에 가장 널리 알려진 한국의 토종견.1962년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됐다. 세계 최고권위의 축견단체인 영국 켄넬클럽(KC)에 공식 등록됐다. 지난 7월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세계축견연맹(FCI)총회에서 국내 견종 가운데 처음 국제공인을 받았다.
▲ 불개
●풍산개 ‘호랑이 잡는 개’로 잘 알려진다. 함경남도 풍산군 풍산면과 안수면 일대에서 길러지던 북한지방 고유의 사냥개다.1942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천연기념물 제128호로 지정됐으나,1962년 남한에서는 해제됐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 368호로 재지정돼 잘 보존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삽살개 삽사리라고도 한다. 귀신이나 액운(살)을 쫓는(삽) 개라는 뜻. 고유의 특산종이다.1992년 3월7일 ‘경산의 삽살개’라는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제368호로 지정됐다. 삽살개보존회와 보존회육종연구소에서 보존하고 있다.
- 0
- |
- 70
- |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