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글쓰기
서울시 차량관리소 문제로 상담드렸던...

서울시 차량관리소 문제로 상담드렸던...

안녕하세요

서울시 차량관리사무소 사람들의 개 사육(농장에서 새끼를 데려와 잔반을 먹어 키워서 식용으로 팔아서 돈을 챙기거나 자기들이 직접 데려가 잡는)문제로 상담 드렸던 이영주라고 합니다.

제가 통화했던 분이 나중에 알고 보니 김은하 간사님이신것 같은데 서울시에 민원 접수 후 서울시청 담당자와 방문상담까지 마쳤으나 그쪽에서 모든 혐의에 대해서 완강하게 부인하고 개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바람에 별다른 소득은 얻지 못한채 끝났습니다.

상세내용은 김은하 간사님 메일로 대강의 내용을 정리해서 보내드렸는데 아직 수신확인 전이신것 같습니다.

 

다름이아니라 제가 11개월 동안 키웠던 우리 복이(백구) 집이 아직 서울시 차량관리사무소 주차장에 있습니다. 시멘트 바닥에 묶여 눈비를 그대로 맞는것이 가여워 제가 직접 마련해 준 집이었습니다. 아직 한 살도 채우지 못한 복이는 11월 5일 다른 6개월가량 된 암컷 강아지와 함께 헐값에 안산 소재 공장 노가다 사람들에게 팔렸고 생을 마감했습니다.

어처구니없게도 그쪽에서 당장 개집부터 치우라고 나오는데 저는 아파트에 소형견과 살고 있기때문에 그 집이 필요 없습니다. 처음부터 복이만을 위해서 마련한  대형견집이었으니까요...

출퇴근때마다 주차장에 덩그러니 놓인 빈집을 보면 가슴이 찢어질것처럼 아픕니다. 솔직한 마음은 다시는 그쪽으로 눈길도 주고 싶지 않고 그 사람들과 마주치는것도 소름끼칩니다. 그래서 그쪽에서 버리던지 말던지 알아서 처리하라고 할까 하다 여기 들어와 보니 우리 복이와 같이 큰 아이들도 많이 있는것 같아서 필요하시다면 이곳에 기증을 하면 어떨까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집이 크기 때문에 저희집 승용차에는 싣을 수가 없어서 난감합니다. 처음에 그 집을 차량관리사무소에 가져다 줄때에는 저희 차에 들어가지 않아서 엄마 지인분의 큰 차를 빌려서 집을 분해해서 가져다 주고 다시 거기서 조립해놓았던 겁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된 상황에서 다시 그렇게 하기엔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가능하시다면 동물자유연대측에서 오셔서 가져가실 수 있을지 조심스럽게 여쭙니다. 이게 기본적인 예의가 아닌줄 알면서도... 죄송합니다.

혹시 필요하시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추후 통화로 날짜와 주소 등 세부사항을 논의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되실까 해서 사진 이미지 첨부해드립니다.

아무쪼록 해탈이처럼... 우리 복이와 같이 큰 아이들도 따뜻한 겨울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댓글

이영주 2011.11.21

제가 근무하는 곳은 기상산업진흥원입니다. 주소는 서울시 종로구 송월길 52(송월동1번지)입니다. 제 연락처는 010-3894-0860입니다. 이 주소지를 찾아오시다 보면 서울시 복지재단, 서울시 차랑관리사무소, 한국기상산업진흥원이 함께 쓰는 정문을 통해서 들어오시게 될거고 복지재단을 좌측으로 두고 언덕으로 올라오시다보면 중간에 2층짜리 하얀 건물이 정면으로 보이는데 그곳이 서울시 차량관리사무소입니다. 그 주차장 안쪽에 우리 복이 집이 있습니다. 제가 근무하는 진흥원 건물은 그쪽에서 위로 올려다보면 있는 언덕의 꼭대기 3층건물입니다. 저는 기상산업진흥원 소속 기상콜센터 직원으로 심야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제 근무시간은 22:00~08:00 입니다. 오전과 오후에는 차량관리사무소에 근무하는 43명의 운전기사들이 왔다갔다 하고 저는 그들과 마주치기 싫어서(무서워서가 아니라 그런일을 저지르고도 뭐가 잘못된건지 모르고 거기 나와 담배피고 커피마시며 희희낙낙하는 모습이 보기 싫어서)산 속 숲길로 출퇴근하고 있습니다. 이번주는 제가 23일 교육을 제하고는 25일 아침까지 계속 근무일정이 있습니다. 가능하신 날짜와 시간을 말씀해주시면 남겨주시면 제가 정문 앞에 나가 있겠습니다.


김은하 2011.11.21

이영주 님, 안녕하세요? 오늘 출근해서 보내주신 메일 확인 하였습니다.. 우선 서울시의 태도가 매우 실망스럽네요..백구 외에 안타깝게 생을 마감한 아이들을 생각하면 저도 마음이 너무 쓰리지만 앞으로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영주 님도 많이 힘드시겠지만 기운 내시구요.. 후원의 밤 신청하신것 같은데 그 날 얼굴 뵙길 바랄게요..


쿠키 2011.11.21

네..정말 가슴이 아프다고만 말할 수 없는 큰 아픔이고 시련입니다. 크니 아이들이 입양도 잘 안돼고 또 입양보내는 것도 가장 힘든, (혹시나 잡아먹을까봐) 아픈 손가락이지요. 집을 잘받아서 두었다가 요긴하게 사용하겠습니다. 마음의 상처가 잘 다스려지기를 바랍니다...ㅠ.ㅠ


후원 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