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고양이 공존
우리의 작은 이웃 동네고양이의
내일이 더 따뜻하고 행복할 수 있도록
- 2025.09.03
지난 8월 12일, 백사마을 재개발지역 내 길고양이 보호 · 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서울 노원구 중계동에 있는 백사마을에서는 작년부터 재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이곳 뿐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재개발과 재건축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서울만 해도 재개발, 재건축 지역은 총 730여 곳, 이 중 60여 곳곳이 공사를 위한 철거 계획 중입니다. (2025년 4월 기준)
재개발은 길고양이에게 큰 피해를 입힙니다. 먹이 활동이 어려워지고, 건물 잔해 속에서 부상을 입거나 건물 안으로 숨어들었다가 사고를 당하는 일도 많습니다.
사람들이 중심이 된 도시 환경에서 길고양이는 오랫동안 재개발 계획의 고려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건 재개발 지역 동물 보호의 노력이 점점 시작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2019년 부산 동래구 온천동 제4구역 재개발지역에서 길고양이 보호 단체, 예술가 단체는 ‘온천냥이 구조단’을 만들었고 동래구청에도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동래구는 고양이들에게 급식과 피신처를 제공하는 ‘온천냥이구조센터’를 개소했고, TNR 사업에 예산을 우선 배정하기도 했습니다. 온천냥이 구조단은 고양이 320 마리를 구조했고, 176 마리를 이주, 80마리를 입양시켰습니다.
이후로도 긍정적인 변화는 계속되었습니다. 2020년에 서울시 및 경기도 동물 보호 조례에는 도시정비구역 내 동물 구조와 보호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조항이 신설되었습니다. 당해 부산시 역시 ‘도시환경 정비 관련 조례’에 재개발지역의 길고양이 보호 내용을 포함시켰는데, 이에 따라 공사하기 전에 해당 지역에 사는 길고양이의 이주와 보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그 외 여러 지역에서 조례에 재개발지역 길고양이 보호 대책 수립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토론회를 개최한 백사마을의 경우 서울시의회, 노원구의회, 노원구청 담당부서, 지역 돌봄활동가, SH공사 관계자 등이 민관협력을 추진 중입니다. 돌봄활동가들은 중성화와 급여, 구조 등을 맡아 하고, 노원구는 집중 중성화를 위한 예산을 마련했습니다. SH 공사는 주민들과 소통하며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며, 의회에서도 동물 보호 정책을 위해 적극 나서겠다는 의견을 전했습니다 .그 외에도 이번 토론회에서는 추후 ‘도시·주거환경정비법’이나 ‘환경영향평가법’을 통해 공사 전 동물보호 및 이주 대책 검토 절차가 필요하다는 개선 방향도 제시됐습니다.
한편, 해외에서는 민관협력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TNR 지원 사례가 있습니다. 미국 LA시는 2022년 2월부터 길고양이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시 전역 고양이 프로그램(Citywide Cat Program)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LA 동물 서비스국에서는 동물단체나 자원봉사자가 길고양이를 포획할 수 있도록 허가증을 발급하고 포획틀을 대여해주며, 매년 최소 2만 마리의 길고양이를 중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고양이 1마리당 70달러 상당의 바우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대규모 중성화 수술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어서 마취, 수술, 회복 과정을 각각 전문 인력이 담당합니다. 수술 절차를 분업화하면 하루 수십 마리 이상의 수술을 효율적으로 하고, 1마리당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민간단체 및 협의체에서도 교육을 통해 시민 인식 수준을 개선하고 봉사자를 적극적으로 모집합니다. 150여 개의 민간단체가 모인 뉴욕 시 길고양이 이니셔티브(NYCFCI, NYC Feral Cat Initiative)에서는 2005년~2019년까지 봉사자 14,000명에게 온/오프라인 TNR 교육을 제공했습니다. 봉사자는 이후에도 새끼 고양이를 다루는 방법, 고양이 집 짓는 방법, 지역 사회와의 소통 방법 등 심화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포획틀, 케이지 대여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동물병원과 임시 보호시설 간 고양이를 이동시켜주기도 합니다.
충분한 기반을 바탕으로 민간 단체가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해외 사례는, 아직 돌봄활동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국내에 큰 시사점을 남깁니다. 재개발지역 동물 보호, TNR 정책 등 돌봄활동가의 역량이 정책의 효과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원활하고 안정적인 돌봄활동을 지속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도시에는 사람만 살아가지 않습니다. 인간의 편의를 위해 동물이 일방적으로 피해를 입지 않게 재개발 시 동물 이주 대책을 함께 논의해야 합니다. 그 과정에 돌봄활동가가 더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인식 개선과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기를 바랍니다.
- 0
- |
- 19
- |
- 0